'21.11.19.부터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가 시행됩니다.
따라서 사용자는 이제 임금을 지급할 때, 근로자에게 임금명세서를 교부하여야 합니다.
이에 관한 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!
1. 적용 대상 : 상시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을 포함하여 전체 사업장 대상
2. 적용 시기 : ’21.11.19. 이후 지급되는 임금에 대해서만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가 적용
3. 임금명세서 기재사항(근로기준법 시행령 제27조의2)
(1) 근로자의 성명, 생년월일, 사원번호 등 근로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
(2) 임금지급일
(3) 임금 총액
(4) 기본급, 각종 수당, 상여금, 성과금, 그 밖의 임금의 구성항목별 금액
* 통화 이외의 것으로 지급된 임금이 있는 경우에는 그 품명 및 수량과 평가총액
(5) 임금의 구성항목별 금액이 출근일수·시간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에는 임금의 구성항목별 금액의 계산방법
* 연장근로, 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의 경우에는 그 시간 수를 포함
(6) 법 제43조제1항 단서에 따라 임금의 일부를 공제한 경우에는 임금의 공제 항목별 금액과 총액 등 공제내역
※ 법정 기재사항이 누락되지 않아야 하며, 특히 연장근로수당, 임금 항목별 계산방법 등이 제대로 기재되어야 합니다.
※ 연장근로수당 계산방법에 대해 취업규칙, 근로계약서 등에 나와있다 하더라도 해당 월의 연장근로시간 수는 임금명세서상 계산방법에 반드시 기재되어야 합니다.
4. 처벌규정 :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 위반시 과태료 부과
- 근기법 제48조제2항에 따른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 위반한 경우 500만원 이하 과태료 부과
<과태료 부과기준>
위 반 행 위 | 과태료 금액(만원) | ||
1차 | 2차 | 3차 이상 | |
사. 법 제48조제2항에 따른 임금명세서 교부의무를 위반한 경우 1) 임금명세서를 교부하지 않은 경우 2) 임금명세서에 기재사항을 적지 않거나, 사실과 다르게 적어 교부한 경우 |
30 20 |
50 30 |
100 50 |
(2021.10.14.)연차유급휴가 노동부 지침 변경(1년 26일? 11일?)
(2021.10.14.)연차유급휴가 노동부 지침 변경(1년 26일? 11일?)
연차유급휴가는 성실하게 근로한 대가로 근로자에게 휴식의 기회를 유급으로 제공해주는 근로기준법상의 제도입니다. - 따라서, “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”가 먼저 주어지고, 이를 사용
junsaem.tistory.com
임신 중 육아휴직 가능(남녀고용평등법 제19조)
지금까지는 출산 후에만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. 하지만, 이번에「남녀고용평등과 일·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」개정으로 임신기에도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(
junsaem.tistory.com
주52시간(시행시기, 계산방법, 적용사업장, 특례업종) 완벽정리!
주52시간(시행시기, 계산방법, 적용사업장, 특례업종) 완벽정리!
오늘은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 대상인 기업은 이제 휴일근로와 연장근로를 포함하여 1주에 최대 52시간까지만
junsaem.tistory.com
소정근로시간(통상근로자, 단시간 근로자) 정리!!
오늘은 소정근로시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! 1. 소정근로시간 : 사용자와 근로자간에 합의하여 근로하기로 정한 시간 (근로기준법 제2조 7항, 제50조, 제69조) * 여기에서 소정근로시간은 법정근
junsaem.tistory.com
'▣ 실용지식 > - 노동관계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2021.12.16.)연차유급휴가 노동부 지침 변경(1년 26일? 11일?) (0) | 2021.12.21 |
---|---|
임신 중 육아휴직 가능(남녀고용평등법 제19조) (0) | 2021.12.08 |
소정근로시간(통상근로자, 단시간 근로자) 정리!! (0) | 2021.08.16 |
1년 미만 연차휴가(수당) 개정(2020.03.31.) (0) | 2021.04.25 |
연장근로수당(시간), 잔업수당 계산법(주40시간, 일8시간) (0) | 2021.04.18 |
댓글